
들어가며 스프링을 배우려고 막연하게 학원 제공 강의만 무지성으로 듣다보니 내 것을 한 번 만들어 보고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주제도 정해봤고 했으나 ERD에서 1차적으로 막혔고, 2차적으로 폴더 구조를 그러면 어떻게 짜야하지...? 라는 생각이 들어 그간 따라 만들었던 것들을 보았는데 dto, dao, vo 이런 폴더가 꼭 있었다. 너네 뭔데? DTO DTO는 Data Transfer Object의 줄임말로 말 그대로 데이터 전송 객체를 나타내준다. 주로 데이터를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비즈니스 계층과 프레젠테이션 계층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데이터를 담는 용도로 사용되며, 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비즈니스 로직에서 사용하기 쉽게 변환하기 위해..

들어가며 7개월간의 백엔드 과정도 이제 10주 남짓 남아있다. 시간도 정말 안 가고 자율적으로 공부하다 보니 내가 어디가 부족한지 어딜 어떻게 해야 할지 헤매는데 대부분의 시간을 허비하긴 했지만, 그래도 조금은 실력이 늘지 않았나 싶다(프론트로 가야 하나...). 아무튼 개인프로젝트 때 코드리뷰도 해야 하는데 뭐랄까... 그냥 코드 따라 치기 바빴던 입장에선 살짝 버거울 것 같다. 잘해보자... Keep 올바른 생활 습관 궁금한 것들 블로그에 적어두고 시간될때마다 정독하기 ERD나 폴더구조 꾸준히 찾아보기 Try 눈으로만 보지말고 코드로도 쳐보고 만들어보자 운동 매일 나가기 이력서 만들어보자 Problem 어려워... 너무 어려워... 뭐부터 해야 해...? 마치며 아니 근데 알아야 될게 뭐가 이렇게 많..

ERD가 뭐야? ERD(Entity-Relationship Diagram)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도구로 복잡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ERD는 뭐로 구성되었지? 1. 엔티티 (Entity)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의 단위로, 사람, 장소, 물건, 이벤트 등과 같이 식별 가능한 데이터 집합이다. 각 엔티티는 ERD 내에서 사각형으로 표현된다. 2. 속성 (Attribute) 엔티티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항목이나 성질로, 엔티티의 세부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고객' 엔티티는 이름, 주소, 전화번호와 같은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속성은 보통 타원형으로 표현되며, 엔티티에 연결..

들어가며 오버라이딩과 오버로딩은 자바 프로그래밍에서 주로 사용되는 개념이다. 난 오버라이드를 주로 사용했는데 상속이 되서 뭐... 이렇게 저렇게 쓰는거라고 기계적으로 써서 개념과 차이에 대해서 명확하게 설명을 하지 못해서 정리를 하게 되었다. 오버라이딩 (Overriding) : 상속 관계에 있는 부모 클래스의 메소드를 자식 클래스에서 재정의하는 것을 오버라이딩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오버라이딩은 메소드의 이름, 매개변수 타입, 반환 타입이 반드시 모두 같아야만 한다고 한다. 이를 통해서 자식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의 메소드를 자신의 필요에 맞게 변경이 가능하다고 한다. 오버로딩 (Overloading) : 같은 클래스 내에서 같은 이름의 메소드를 여러 개 정의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들 메소드는 매개..

들어가며 리액트 국비과정을 수료했지만 수료하는 날까지 타입스크립트, nextJS는 손도 대지 못하고 끝냈었는데 이렇게 다시 하게 됐다. 당시에는 리액트 리덕스를 배우기도 벅찼던 시기이기도 했고 타입스크립트부터는 나 말고 다른 수강생들도 어려움을 많이 겪어 학원 차원에서 원래라면 2주에 학습하고 1주 동안 프로젝트를 시켰었는데 이때 이례적으로 그냥 자바스크립트로 진행을 시켜서 아 정말 어려운가 보다 하고 넘어갔었는데 우연히 이 녀석과 다시 만나게 되었다. 타입스크립트의 탄생 타입스크립트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하고 관리하는 오픈 소스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자바스크립트의 슈퍼셋이라고 한다. 이는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기능을 포함하면서도, 추가적으로 정적 타입 체크와 클래스 기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등을 지원..

들어가며 개인 프로젝트가 얼마 남지 않아서 다른분들의 README를 구경하고 있는데 아키텍쳐에 다른건 어떤 이유로 이런 기술 스택을 사용했다 라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었는데 CI/CD에 AWS를 다들 넣어뒀길래 뭔가했다... 나만 몰랐던건가? CI/CD란 먼저, CI는 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 통합의 줄임말이고 CD는 Continuous Deployment의 줄임말로, 이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두 가지 개념을 의미한다. CI 지속적 통합 (Continuous Integration) : 개발자들이 자신들이 개발한 코드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병합하는 과정을 가르키는데 이렇게 하는 이유는 각 개발자들이 독립적으로 개발한 코드 사이에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을 ..